R&D Planning Course


- 중소벤처기업부 지원사업으로 중소벤처기업부-대학-기업 3자 간 공동계약에 의해 기업이 필요로 하는 학위과정을 설치·운영하는 재교육형 계약학과
(학내 규정 및 중소벤처기업부의 계약학과 운영규정에 따름) - 재직자 대상으로 주중 또는 주말 학위과정을 운영함으로써 중소기업 우수 인재 양성 및 근로자(학생)의 장기 재직 유도
- 중소벤처기업부의 등록금 일부(중소기업 65%, 중견기업 40%) 지원을 통하여 근로자(학생)의 교육비 부담 완화
- 사업계획서 및 학위논문 작성 등을 위한 다양한 학과 내 프로그램 지원

기업
- 중소기업기본법 제2조제1항에 따른 중소기업
※ 대학-업체 간 거리 제한 없음
※ 중견기업 참여가능(단, 중견기업의 경우, 선발인원의 30% 범위 내 선발)
※ 참여제외업종 : 부동산업, 일반 유흥주점업, 무도 유흥주점업, 기타 주점업, 기타 겜블링 및 베팅업, 무도장 운영업 등은 제외
학생
- 학기개시일 기준으로 6개월 이상 재직 중인 자로 원칙적으로 기간의 정함이 없는 근로자.
※ 박사과정은 학기 개시일 기준으로 중소기업(또는 중견기업)에서 근무경력이 3년이상인 자, 단, 중소기업 계약학과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한 경우에는 적용 제외
- 석사: 학사학위 소지자 또는 이와 동등한 학력이 있다고 인정되는 자
- 박사: 석사학위 소지자 또는 이와 동등한 학력이 있다고 인정되는 자
- 「근로기준법」 제2조제1항제1호에 따른 임금을 목적으로 근로를 제공하는 자.
단, 법인등기부에 등재된 대표자는 제외하되, 근로소득세를 납부하고 실질적 근로를 제공하는 전문경영인은 포함.

- 개설학과 기전공학과
- 개설과정 석사과정 / 박사과정
- 모집인원 석사과정 20명, 박사과정 10명
- 입학예정일 매년 3월 1일(전기) / 9월 1일(후기)
※ 단, 중견기업의 경우, 선발인원의 30% 범위 내 선발


※ 최종 등록인원이 석사과정은 10명 이상, 박사과정은 5명 이상이어야 해당 학기 개설 가능

구분 | 중소기업 계약학과 등록금(2023년 기준) | ||||
---|---|---|---|---|---|
중소벤처기업부 | 산업체 | 학생 | 합계 | ||
중소기업 | 1,963,000원 (65%지원) |
528,500원 이상 (17.5% 이상) |
528,500 이하 (17.5% 이하) |
3,020,000원 | |
중견기업 | 매출액 3천억원 미만 (최근결산년도 매출액 기준) |
1,208,000원 (40% 지원) |
906,000원 이상 (30% 이상) |
906,000원 이하 (30% 이하) |
|
매출액 3천억원 이상 (최근결산년도 매출액 기준) |
없음 | 1,510,000원 이상 (50% 이상) |
1,510,000원 이하 (50% 이하) |
기타 지원프로그램
- 사업수주 및 사업계획서 작성 기업 R&D과제에 따라 전문교수 매칭 및 정부사업 수주지원
- 멘토-멘티프로그램 논문작성을 위한 멘토 지원 프로그램
- 학회참가 지원 학회참가비 및 발표 비용 전액 지원
- 프로젝트 학위 신청 정부 연구인력양성사업에 참여하는 대학원생 대상, 학위논문 제출 없이 산업체 연구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그 결과물을 제출해 학위 취득.

- 교과목 운영 주말 또는 평일 야간 운영
- 수료 (석사) 4학기 24학점, (박사) 5학기 36학점
- 졸업 1. 수료 후, 논문제출 자격시험(외국어시험, 전공 종합시험) 및 논문 합격 시 일반대학원 석박사학위 수여
2. 프로젝트 학위 신청 후 산업체 연구 프로젝트 수행 결과물 제출을 통한 일반대학원 석사학위 수여
항목 | 졸업 기준 | |
---|---|---|
교과목 이수학점 | (석사) 24학점, (박사) 36학점 | |
국어시험 및 전공종합시험 | 평균 70점 이상 득점 시 합격 | |
학위취득 | 석사 학위 논문 | 3명의 심사위원의 구술 및 논문심사에서 평균 80점 이상 판정 시 합격 |
프로젝트 학위 심사 (3가지 서류 제출 시 인정) |
1. 한국연구재단 등재(후보)지 이상의 게재 논문(제1저자) 또는 특허등록 서류(제1발명자) 2. 연구 프로젝트 수행결과보고서 3. 산업체 현장실습 수행보고서 |
|
박사 학위 논문 |
5명의 심사위원의 구술 및 논문심사에서 평균 80점 이상 판정 시 합격 - 박사학위 논문청구 시 학술지 게재 요건 필수 (KCI 2편 이상, 또는 SCI 1편 이상 게재 ) |

- R&D공통 트랙과 전공에 따른 기계공학 트랙, 전기전자공학 트랙, 신소재공학 트랙으로 구성
- R&D공통 트랙 27학점 중 석사 12학점 이상, 박사 18학점 이상 이수 필수
- 전공선택 트랙(기계공학, 전기전자공학, 신소재공학) 중 졸업기준 잔여학점(석사 12학점 이하, 박사 18학점 이하) 이수
- 주말 또는 야간 수업일 선택 후 학기 당 6~9학점 수강

구분 | 1학기 | 2학기 | 3학기 | 4학기 | 최소 취득학점 (석사) |
최소 취득학점 (박사)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전공필수 |
|
12학점 | 18학점 | |||
전공선택 |
|
12학점 | 18학점 | |||
수료 기준 |
24학점 | 36학점 | ||||
졸업 기준 |
외국어 시험 |
전공종합 시험 |
학위논문 또는 산학공동프로젝트보고서 제출 |
석사 학위 취득 |
박사 학위 취득 |
이수 구분 |
교과목명 | 학점 | 학년-학기 |
---|---|---|---|
R&D 공통트랙 |
최신기술동향특론(SpecialTopics in Recent Technology Trend) | 3 | 1-1 |
R&D특허전략(R&D Patent Strategy) | 3 | 1-1 | |
마이크로로드맵작성법(Micro-Roadmap Writing) | 3 | 1-2 | |
실험계획분석법(Designof Experiments Methodology) | 3 | 2-1 | 산학공동프로젝트Ⅰ(Collaborative Project I) | 3 | 2-1 |
산학공동프로젝트Ⅱ(Collaborative Project Ⅱ) | 3 | 2-2 | |
산학공동프로젝트 응용 I (Advanced Industry-University Collaborative Project I) | 3 | ||
산학공동프로젝트 응용 Ⅱ(Advanced Industry-University Collaborative Project Ⅱ) | 3 | ||
대학원현장프로젝트(Graduate fieldproject) | 3 | 1-2 | |
연구설계(Research Planning) | 3 | ||
연구설계와 응용(Research Planning and Application) | 3 | 1-1 | |
연구개발기획특론(Advanced Research and DevelopmentPlanning) | 3 | 1-2 | |
식스시그마 응용(Application of 6sigma) | 3 | ||
통계적 품질관리(Statistical Quality Control) | 3 | ||
논문작성법(Thesis Writing) | 3 | 1-2 | |
논문작성법 및 응용(Advanced Guidelines for Writing Paper) | 3 | ||
논문연구(Research for Dissertation) | 3 | ||
논문응용연구Ⅰ(Advanced Research for DissertationⅠ) | 3 | ||
논문응용연구Ⅱ(Advanced Research for DissertationⅡ) | 3 | ||
기술사업화전략(Technologycommercialization strategy) | 3 | 2-1 | |
기술과사업화전략세미나(Technology and Business Commercialization Strategy Seminar) | 3 | ||
프로젝트 관리론(R&D Project Management) | 3 | ||
트리즈 응용 설계(Design using TRIZ) | 3 | ||
기계공학 트랙 |
고등동력학(Advanced Dynamics) | 3 | 재학생 수요조사에 의해 개설 |
자동차공학특론(Advanced Automotive Engineering) | 3 | ||
센서공학특론(Sensor Engineering) | 3 | ||
복합재료역학(Mechanics of Composite materials) | 3 | ||
기계설계공학특론(Advanced mechanical design engineering) | 3 | ||
유한요소해석(Finite element analysis) | 3 | ||
선형제어시스템(Linear Control System) | 3 | ||
기계진동학특론(Applied Vibration Engineering) | 3 | ||
기전공학특론(Advanced Electromechanical System) | 3 | ||
적층공학(Additive Manufacturing) | 3 | ||
열전달특론(Advanced Heat Transfer) | 3 | ||
고체역학특론(Advanced solid mechanics) | 3 | ||
소성역학(Plasticity) | 3 | ||
친환경자동차부품 설계 및 해석(Eco-freinedly automible design and analysis) | 3 | ||
마이크로웨이브 응용 공정 설계(Process Design using Microwaves) | 3 | ||
다이캐스팅 설계 및 해석(Diecasting design and analysis) | 3 | ||
고급실험계획분석법(Advanced Design of Experiments) | 3 | ||
머신러닝(Machine Learning) | 3 | ||
자율주행모빌리티(Autonomous Mobility) | 3 | ||
신기술세미나Ⅰ(Mechatronics Engineering SeminarⅠ) | 3 | ||
전기전자 공학트랙 |
고체전자공학(Solid State Electronics) | 3 | |
센서응용회로설계(System Design with Various Sensors) | 3 | ||
디스플레이전자공학(Display Electronics) | 3 | ||
마이크로프로세서응용(Microprocessor Application) | 3 | ||
임베디드시스템설계(Embedded System Design) | 3 | ||
전력품질제어(Power Quality Control) | 3 | ||
무선통신시스템(Radio Communication System Engineering) | 3 | ||
전력변환기특론(Special Topic in Power Converter) | 3 | ||
고속회로시스템해석(Analysis of High-Speed Circuit& System) | 3 | ||
비젼시스템(Vision System) | 3 | ||
지능형안전제어시스템(Intelligent Safety Control System) | 3 | ||
전기차에너지저장시스템(Electrical Storage Systems for EV) | 3 | ||
차량전력변환시스템(Vehicle Power Conversion System) | 3 | ||
실시간 임베디드 시스템(Real-Time Embedded System) | 3 | ||
전기차인버터설계(Inverter Design for EV) | 3 | ||
자동차통신시스템(Automotive communication system) | 3 | ||
차량반도체신뢰성(Reliability for EV Semiconductor) | 3 | ||
자동차센서(Automotive Sensor) | 3 | ||
고속 인터페이스 설계(High-Speed Interface Design) | 3 | ||
신기술세미나Ⅱ(Mechatronics Engineering SeminarⅡ) | 3 | ||
신소재 트랙 |
경량금속재료(Lightweight Metals Engineering) | 3 | |
재료강도학특론(Mechanical Properties of Materials) | 3 | ||
고온재료특론(Materials Characterization Theory) | 3 | ||
분말야금학특론(Electron Microscopy) | 3 | ||
고온변형특론(High Temperature Materials) | 3 | ||
X-선 회절 특론(X-ray Diffraction Analysis) | 3 | ||
금속재료공학특론(Materials Science Engineering) | 3 | ||
3D프린팅특론(3D Printing Technology) | 3 | ||
금속변형미세조직(Deformation of Metals and Related Microstructure) | 3 | ||
신기술세미나Ⅲ(Mechatronics Engineering SeminarⅢ) | 3 |
문의처
Tel. 041-521-9664 Fax. 041-521-9668
홈페이지: http://pro.kongju.ac.kr
E-mail: rnd@kongju.ac.kr
기전공학과 교육의뢰: https://me-pro-kongju.com/request/
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천안대로 1223-24 공주대학교 천안캠퍼스 9공학관 303호